미래 유망산업, 농업과학에 주목하라! | |||
Name : 미래연구팀 | Date : 2010.08.16 | Views : 24815 |
"미래 유망 산업, 농업과학에 주목하라!"
오랜 세월 인류에게 식량을 제공해 온 농업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과 농업과학의 현주소 및 농업과학에 주목하는 붐이 일어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농업은 인류에게 식량을 제공해 왔다. 시공을 뛰어넘는 식물공장, 농산물을 이용한 신소재 산업이 미래 성장산업으로 떠오르면서 농업과 과학의 융합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제 더 이상 1차 산업이 아닌 1차와 2차, 3차를 모두 포괄하는 6차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 농업의 현 주소다. 영하 50도의 남극 대륙. 혹한의 지역에 자리한 세종기지에선 얼마 전부터 일주일에 한번 삼겹살에 각종 채소를 싸서 먹는 기쁨을 누리고 있다. 농촌진흥청이 남극 세종기지로 보낸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덕분이다. 도심의 빌딩에서 벼가 자라는 일본의 식물 빌딩, 신선한 채소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생겨난 뉴욕의 지붕 농장까지 세계 곳곳에서 경쟁하듯 생겨나는 미래형 농장, 식물공장의 가능성을 점쳐본다. 중요한 식량 산업인 농산물. 그런데 최근 세계 각국은 농산물을 먹을거리를 넘어 신소재 개발이 한창이다. 미국에서는 옥수수를 이용해 친환경적인 플라스틱과 섬유를 만드는데 성공했고 우리나라에서는 누에에서 뽑은 실크로 인공 고막을 개발했다. 특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가의 인공피부를 제주 감귤의 부산물로 만드는데 성공했는데 이를 상용화할 경우 기대되는 고부가가치만 약 145억원에 달한다. 글로벌 신소재 시장 규모가 이미 474조원을 넘어선 지금, 농산물을 이용한 신소재 개발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돼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2010년, 경제 성장의 핵심 산업으로 다시 떠오른 농업. 그 이면에는 BT, IT 기술과 접목된 종합적 농업과학이 있다. 농업과학이 이뤄낸 신기술은 미래 국가의 경쟁력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세계가 농업과학에 주목하는 이유다. |
![]() |
%s1 / %s2
No | File | Subject | Name | Date | Views |
---|---|---|---|---|---|
39 | ![]() |
![]() |
2012.01.19 | 29,441 | |
38 | ![]() |
![]() |
2012.01.13 | 31,501 | |
37 | ![]() |
![]() |
2012.01.06 | 27,152 | |
36 | ![]() |
![]() |
2012.01.06 | 29,105 | |
35 | ![]() |
![]() |
2011.11.17 | 30,725 | |
34 | ![]() |
![]() |
2011.11.17 | 31,003 | |
33 | ![]() |
![]() |
2011.11.17 | 30,062 | |
32 | ![]() |
![]() |
2011.11.17 | 30,272 | |
31 | ![]() |
![]() |
2011.11.17 | 24,725 | |
30 | ![]() |
![]() |
2011.11.17 | 24,157 | |
29 | ![]() |
![]() |
2011.05.02 | 25,293 | |
28 | ![]() |
![]() |
2011.04.20 | 23,909 | |
27 | ![]() |
![]() |
2011.02.08 | 24,449 | |
26 | ![]() |
![]() |
2010.11.08 | 25,184 | |
25 | ![]() |
![]() |
2010.10.28 | 24,742 | |
24 | ![]() |
![]() |
2010.10.28 | 25,445 | |
23 | ![]() |
![]() |
2010.10.15 | 27,864 | |
![]() |
![]() |
2010.08.16 | 24,816 | ||
21 | ![]() |
![]() |
2010.08.16 | 25,935 | |
20 | ![]() |
![]() |
2010.06.18 | 24,482 |